[SoC] 실무에서 자주 쓰는 약어 뜻 정리 SoC 란? CPU란?
실무를 하면서 수 많은 약어들이 내 귀에 스치고 .. 겉으로는 끄덕이지만 마음 속으로는 ( 아 ㄹㅇ 무슨말이지..;;) 이 생각이 많이 들었었다. 구글에 쳐도 잘 나오지 않는 것들이 많아 애를 썼었던 기억이 나는데 그래서 정리해보았다. . 가능하면 abc 순으로 정리하고 싶었으나 실패!! 따로 자세한 설명은 차차 추가하면 될 것 같다!!
SoC : System on Chip
- Cell-phone, Digital camera와 같은 하나의 system을 구성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부품과 전자회로
MPW : multi project wafer
- 웨이퍼 한 장에 여러 개의 연구개발(R&D)용 칩 시제품을 올려 제작하는 서비스
ES : engineering sample
- 엔지니어링 샘플은 호환성 검증 또는 데모용으로 사용되는 집적 회로의 베타 버전
CS : customer sample
- customer 에게 제공되는 샘플
IP : Intellectual property
- 전자 설계에서 반도체 IP 코어, IP 블록은 지식 재산권이 되는 논리, 셀, 집적 회로 레이아웃 설계의 재이용 가능한 유닛이다 ( ex : DMA controller, CAN, UART, GPSB 등등 .. )
CPU : Central Process Unit
- 중앙 처리 장치 또는 CPU는 컴퓨터 시스템을 통제하고 프로그램의 연산을 실행 · 처리하는 가장 핵심적인 컴퓨터의 제어 장치, 혹은 그 기능을 내장한 칩이다
DSP : digital signal processor
- 디지털 신호 처리를 위해 특별히 제작된 마이크로프로세서로 특히 실시간 운영 체제 계산에 사용된다.
SMCU(MCU) : system micro controller unit
- 마이크로프로세서와 메모리, 프로그램 가능한 입출력 모듈을 하나의 칩으로 만들어 정해진 기능을 수행하는 컴퓨터를 말한다. CPU와 다른 점은 많은 수의 타이머와 PWM 출력, 많은 수의 GPIO, 각종 시리얼 통신 장치들,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플래시 메모리나 ROM 등 많은 주변장치를 포함하고 있다는 것
DV : Design verification
- RTL 설계가 제대로 되었는지 검증하는 단계이다.
DRC : design rule check
- 설계된 회로도의 오류를 체크하는 기능이다
LVS : layout versus schematic
- 레이아웃에서 추출된 넷리스트를 원본 회로도 넷리스트와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것.
RTL : register transfer level
- 레지스터와 로직회로를 이용하여 Synchronous 디지털 회로를 설계하는 레벨을 의미한다
DMA : direct memory access
- 특정 하드웨어 하위 시스템이 CPU와 독립적으로 메인 시스템 메모리에 접근할 수 있게 해주는 컴퓨터 시스템의 기능이다.
GLS : gate level simulation
- RTL 이 gate level 단위로 합성이 되면 각 gate 마다 delay가 발생하고 이 현상이 실제 simulation에 영향이 있는지 검증 하는 것.
PI : physical implementation
- 회로 설명을 물리적 레이아웃으로 변환하는 프로세스다. 셀의 위치를 설명하고 이들 사이의 상호 연결 경로를 지정한다.
ECO : Engineering Change Order
- 끝단계에 design 교체가 있는 경우를 말함
UPF : Unified Power Format
- 전자 설계 자동화의 전력 최적화에서 전력 의향을 특정하기 위한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es) 표준의 통칭
SFR : Special Function Register
- 특정 기능을 하는 레지스터로 레지스터에 특정 값을 버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쓰거나 읽을 수 있다.
OTP : One Time Password
- 사용자가 데이터를 쓰면 끝인 디바이스의 보안을 위한 메모리 타입
TZPC : Trust Zone Protection Control
- AMBA bus interface에서 transfer 도중 제한을 접근하기 위한 것 non-secure, secure 로 나뉨
IP_XACT : IP exact
- 관련 문서 생성, 테스트 생성, 툴 동작 스크립트 생성용
일단 여기까지 하고 꾸준히 추가하도록 하겠습니다.